본문 바로가기
일상 리뷰/지식 저장소

경제 용어 정리-1(feat. 시사 경제 용어 사전)

by 꾸리,s :-) 2022. 6. 16.

안녕하세요. 꾸리입니다.


 

글을 쓰기 전에 먼저 밝히지만,

전 이과예요.

여기서 문과 이과 따지는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워낙 공부를 안했던 터라 경제용어 조차

알아 듣지 못해서

나도 뉴스 좀 알아듣자고 쓰는 블로그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아야 하는 이유

예금 적금으로 정적인 투자를 하는 사람(안정적)
주식, 달러, 금 등 동적인 투자를 하는 사람(공격적)

2가지로 나뉜다고 보는데요.

저는 전적으로 1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번을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때문에
(공부 안하고 투자해서 주식 나락......)


나 좋자고 보기 쉽게 적어놓은 경제 용어 정리.

 

목차

 


1. 인플레이션
2.디플레이션
3.스테그플레이션

3-1. 필립스 곡선
4. 자이언트 스탭
4-2 빅 스텝

 


시작해보죠.

요즘에 인플레이션, 자인언트 스텝 이런 말들을 하는데

전 아무것도 몰라요.

 

1. 인플레이션(inflation)

화폐가치 하락으로 물가가 "지속적" 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
일시적으로 오르는 것이 아닌 지속적이 포인트!!


2. 디플레이션(deflation)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인플레이션의 반대 의미
2-1. 원인 : 자산가격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 과잉설비 및 공급, 생산성 향상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동반한 경기 과열 , 광범위한 초과 수요가 존재
코로나, 환경 변화, 전쟁, 반도체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한 공급이 적은데 사려는 사람은 많음
디플레이션은 물가 및 경제 전반에 걸친 무기력 증세, 광범위한 초과 공급이 존재
농산품, 공산품은 막 넘쳐나는데 사려는 사람이 없음,

뭐랄까 급 하락장에 주식을 제 값에 팔고 싶지만

팔려고해도 더 낮은 가격으로 팔아야하는 것 같은 이치인가 


3. 스테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제 활동이 침체되고 있는 상황도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되는 현상
1970년대 석유 파동시 등장한 용어

3-1.필립스 곡선
영국 경제학자 필립스가 발표한 것으로
실업률과 화폐, 임금상승 사이에는 함수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해 설명을 찾아보면
항상 필립스 곡선이 나오는데
사실 전 이해하기 어렵네요 ㅠ

 

필립스 곡선은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해요.

 

 


4. 자이언트 스텝 (Giant Step)
금리를 0.75% 올리는 것

4-1. 빅 스텝 (Big Step)
금리를 0.5% 올리는 것


FOMC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통상적으로 0.25%가 일반적인데

시장의 상황에 따라 인상폭이 변동되고 0.5% 빅스텝 0.75% 자이언트스텝 이라고 한다.


인상되는 차이에 따라서 용어가 달라지는 듯 싶어요.
3%를 빅스텝으로 가면 6번(0.5X6)을 올려야 하는 이야기로
0.75를 올리겠다는 이야기는 금리가 더 올리겠다는 이야기 입니다.



요즘 경제상황이 너무 안좋아지다보니까

뉴스를 봄에 있어서 용어들이 잘 이해가 안되서 

공부를 하는데 이용어들만 안다고해서 다 수익이 나거나 하는 부분은 아니겠지만

앞을 내다보거나 진행되는 정책의 방향성은 이해가 될꺼예요

 

저 나름대로 적은 내용이여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려요.

 

혹시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말씀해주시면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기에 조금 더 쉽게 설명할수 있는 말로

추가 수정 해놓겠습니다.

 

원래는 the Fed, FRB, FOMC 나 연방정부은행 등

이번에 뉴스에 나오는 내용을 이해하려다 보니까

다양한 용어들을 알아야해서 정리하고있는데

추후에 해당내용은 올리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일상 리뷰 > 지식 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 정리-2(feat. 출처가 다양함)  (0) 2022.07.07

댓글